본문 바로가기

Web.d

[CSS] Eric Meyer 의 reset.css 코드 + all:unset

반응형

브라우저마다 태그를 렌더링하는 기본 스타일이 다르기 때문에,

우리는 기본값을 초기화하는 rest css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reset css를 적절히 사용한다면,

코드들을 통해 중복 정의될 수 있는 코드들을 줄일 수 있다

 

정답이 없기에 여러가지 reset 코드들이 있으니 필요한 대로 골라 사용하면 될 것 같다

 

다음은 에릭마이어의 reset.css 코드이다

 

/* http://meyerweb.com/eric/tools/css/reset/
v2.0 | 20110126
License: none (public domain)
*/
html, body, div, span, applet, object, iframe,
h1, h2, h3, h4, h5, h6, p, blockquote, pre,
a, abbr, acronym, address, big, cite, code,
del, dfn, em, img, ins, kbd, q, s, samp,
small, strike, strong, sub, sup, tt, var,
b, u, i, center,
dl, dt, dd, ol, ul, li,
fieldset, form, label, legend,
table, caption, tbody, tfoot, thead, tr, th, td,
article, aside, canvas, details, embed,
figure, figcaption, footer, header, hgroup,
menu, nav, output, ruby, section, summary,
time, mark, audio, video {
margin: 0;
padding: 0;
border: 0;
font-size: 100%;
font: inherit;
vertical-align: baseline;
}
/* HTML5 display-role reset for older browsers */
article, aside, details, figcaption, figure,
footer, header, hgroup, menu, nav, section {
display: block;
}
body {
line-height: 1;
}
ol, ul {
list-style: none;
}
blockquote, q {
quotes: none;
}
blockquote:before, blockquote:after,
q:before, q:after {
content: '';
content: none;
}
table {
border-collapse: collapse;
border-spacing: 0;
}

 

출처 : https://meyerweb.com

 

meyerweb.com

Inspired by Jonnie Hallman, I’ve added a couple of links to the bottom of RSS items here on meyerweb: a link to the commenting form on the post, and a mailto: link to send me an email reply.  I prefer that people comment, so that other readers can gain

meyerweb.com

 


 

reset css는 프로젝트마다 상이하기에, 최소한으로 직접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글꼴을 기본으로 초기화한다

 

body, input, textarea, select, button {
font-size: 14px;
font-family: Dotum, '돋움', Helvetica, "Apple SD Gothic Neo", sans-serif;
}

 


all: unset;

css에 all: unset 이라는 새로운 속성이 생겼다..

따라서 이는 모든 브라우저에 동작하지는 않는다

 

또한, 우리는 all: unset 속성을 모든 것을 지울 때 사용하지만,

reset css는 그저 값을 기본값(0)으로 만든다는 것을 알고 사용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