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실습][부스트코스] 웹 UI 개발 프로젝트 A 영상 테이블 UI 폼 UI 리스트 UI 더보기 [백준 2178번][C] 미로 탐색 (BFS) snupi.tistory.com/107 [C] 너비 우선 탐색(BFS; Breadth First Search) 개념 및 정리 개념 너비 우선 탐색(BFS; Breadth First Search)은 시작점에서 가까운 정점부터 순서대로 방문하는 탐색 알고리즘으로, 동작 과정이 직관적이여서 이해하기 쉽다 (a)의 그래프에서, a를 탐색의 시작점 snupi.tistory.com 이 문제 역시 기본적인 최단 경로 문제이다 최단 경로 알고리즘은 BFS의 가장 큰 장점이므로 이를 활용해보자 adj 행렬(, 미로)의 크기 및 칸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인접한 칸을 queue에 push 시킨다 queue가 빌 때까지 pop 하며 인접한 칸의 정보를 push 시킨다 (BFS) 0. 전역변수 설정 #define MAX 102 .. 더보기 [백준 2667번][C] 단지번호붙이기 (DFS) snupi.tistory.com/106 [C] 깊이 우선 탐색(DFS; Depth First Search) 개념 및 정리 개념 트리의 순회와 같이 그래프의 모든 정점들을 특정한 순서에 따라 방문하는 알고리즘들을 그래프의 탐색(search)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깊이 우선 탐색(DFS; depth-first search)은 그래프의 모든 snupi.tistory.com 다음 문제는 백준 2667번 단지 번호 붙이기 문제이다 전형적인 DFS 또는 BFS 그래프 경로 순회 문제이다 배열의 인접한 부분을 탐색하며 단지 수를 카운팅한다 더불어 나눠진 컴포넌트가 있는 그래프이므로 몇 개의 컴포넌트인지 파악까지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단지 수를 오름차순으로 출력한다 0. 전역 변수 설정 #include #define .. 더보기 [C] 너비 우선 탐색(BFS; Breadth First Search) 개념 및 정리 개념 너비 우선 탐색(BFS; Breadth First Search)은 시작점에서 가까운 정점부터 순서대로 방문하는 탐색 알고리즘으로, 동작 과정이 직관적이여서 이해하기 쉽다 (a)의 그래프에서, a를 탐색의 시작점이라고 하자 H0의 a를 방문하고, H1의 b d e h, 그리고 H2, H3에 속한 정점들을 순서대로 방문해 나간다 이를 구현하는 간단한 방법은, 목록에 먼저 넣은 정점을 먼저 꺼내는 것이다 시작점에서 멀리 있는 정점일수록 나중에 목록에 추가되기 때문이다 이 조건을 큐를 사용하여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snupi.tistory.com/20 [C code] 원형 큐 (Circular Queue) #include #include #define size 10 typedef struct Queue .. 더보기 [C] 깊이 우선 탐색(DFS; Depth First Search) 개념 및 정리 개념 트리의 순회와 같이 그래프의 모든 정점들을 특정한 순서에 따라 방문하는 알고리즘들을 그래프의 탐색(search)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깊이 우선 탐색(DFS; depth-first search)은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발견하는 가장 단순하고 고전적인 방법이다 현재 정점과 인접한 간선들을 하나씩 검사하다가, 아직 방문하지 않은 정점으로 향하는 간선이 있다면 따라가고, 더이상 갈 곳이 없다면 포기하고 마지막에 온 간선을 따라 뒤로 돌아간다 3번의 과정에서 우리는 재귀 호출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코드 인접 행렬 사용 #include #define MAX 1001 int adj[MAX][MAX]; //인접행렬 만들때 사용 int visited[MAX]; //방문했는지 check void ini.. 더보기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