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스트코스][BoostCourse] 5. Javascript 제어문(2/2) (배열/ 반복문) 본 게시글은 생활코딩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배열 (Array) 배열은 여러 개의 원소들을 연속적으로 저장하고 전체를 하나의 단위로 다루는 데이터 구조이다 즉, 서로 연관된 데이터를 정리해서 담아두는 수납상자라고 생각할 수 있다 [ ], 대괄호, 브라켓 안에 값을 넣어 명령한다 예시를 들어보자 var fruits = ["apple", "banana"]; // fruits[0]은 "apple" // fruits[1]은 "banana" var box = new Arrays("apple", "banana"); // 같은 배열 선언문 // "Array 객체"를 이용 위와 같이 배열은 선언했다고 하면, 다음과 같이 배열의 값에 접근할 수 있다 document.write(fruits[0]); // apple .. 더보기 [HTML] Birth Year Select List/ Birth Month Select List/ Birth Date Select List (생년월일 Select List Code) JS로 작성도 가능하지만, HTML로 구현할 시에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코드 년도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2007 2006 2005 2004 2003 2002 2001 2000 1999 1998 1997 1996 1995 1994 1993 1992 1991 1990 1989 1988 1987 1986 1985 1984 1983 1982 1981 1980 1979 1978 1977 1976 1975 1974 1973 1972 1971 1970 1969 1968 1967 1966 1965 1964 1963 1962 1961 1960 1959 1958 1957 1956 1955 1954 1953 1952 1.. 더보기 [부스트코스][BoostCourse] 4. Javascript 제어문(1/2) (비교 연산자/ 조건문) 본 게시글은 생활코딩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프로그래밍 JS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만드는 행위고, 프로그램은 "순서"라는 의미가 있다 컴퓨터를 사용할 때에 다양한 기능을 "순서"대로, 반복적으로 이용하게 된다 HTML로 만든 웹페이지는 한 번 만들어지면 바뀌지 않는다 별다른 순서가 없이 태그를 중심으로 웹페이지를 구현하고, 그저 구조와 요소를 정의한다 이 작성한 코드를 한 번에 페이지로 출력되면 끝이므로 HTML을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부를 수 없다 그러나 JS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고, 여러 기능이 실행되어야 하므로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부를 수 있다 비교 연산자 (Comparison Operators) 조건문에 앞서, 비교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는 이전에 데이터 타입을 들.. 더보기 [Java] 너비 우선 탐색(BFS; Breadth First Search) 개념 및 정리 개념 너비 우선 탐색(BFS; Breadth First Search)은 시작점에서 가까운 정점부터 순서대로 방문하는 탐색 알고리즘으로, 동작 과정이 직관적이여서 이해하기 쉽다 (a)의 그래프에서, a를 탐색의 시작점이라고 하자 H0의 a를 방문하고, H1의 b d e h, 그리고 H2, H3에 속한 정점들을 순서대로 방문해 나간다 이를 구현하는 간단한 방법은, 목록에 먼저 넣은 정점을 먼저 꺼내는 것이다 시작점에서 멀리 있는 정점일수록 나중에 목록에 추가되기 때문이다 이 조건을 큐를 사용하여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코드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class BfsGraph { private int nV; // 노드의 개수 private LinkedList adj[.. 더보기 [Java] 깊이 우선 탐색(DFS; Depth First Search) 개념 및 정리 개념 트리의 순회와 같이 그래프의 모든 정점들을 특정한 순서에 따라 방문하는 알고리즘들을 그래프의 탐색(search)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깊이 우선 탐색(DFS; depth-first search)은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발견하는 가장 단순하고 고전적인 방법이다 현재 정점과 인접한 간선들을 하나씩 검사하다가, 아직 방문하지 않은 정점으로 향하는 간선이 있다면 따라가고, 더이상 갈 곳이 없다면 포기하고 마지막에 온 간선을 따라 뒤로 돌아간다 3번의 과정에서 우리는 재귀 호출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코드 인접 리스트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DfsGraph { private int nV; // 정점의 개수 priv.. 더보기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8 다음